한지윤 medchoi@naver.com
"잘자야 건강하다"
만성피로 극복을 위한 짧은 시간 숙면법
▲ 사진출처 : 무료이미지사이트 Unsplash
우리 현대인들은 매일 매일 과도한 업무와 스트레스로 인해 만성피로에 젖어있다. 더욱이 충분하지 못한 수면은 우리 몸을 더욱 피곤하게 만들기 마련이다.
하지만 많이 잔다고 해서 피곤이 풀리는 것일까? 꼭 그렇지는 않다. 짧은 시간이라고 해도 숙면을 취하면 충분히 피로회복을 하는데 도움을 줄수 있다.
학창 시절 아주 짧은 쉬는 시간 책상에 엎드려 자고 났을 때의 개운함을 생각한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짧은 시간이라도 피곤을 충분히 풀어줄 만큼의 숙면을 취할 수가 있을까?
# 잠 자는 것에만 집중해라
TV를 보다가, 불을 켜놓고 잠을 자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자는 곳이 환하다면 우리 몸이 편히 쉬지 못하기 때문에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자는 곳은 어둡게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특히 잠을 자기 1시간 전부터는 TV,핸드폰,컴퓨터 등을 멀리 하시는 것이 좋다. 이것은 어떤 것에 집중하지 않고 환경을 고요하게 만드는 것이 숙면을 취하게 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시간 전부터는 TV, 핸드폰, 컴퓨터를 멀리해야 숙면을 취할 수 가 있다. 그리고 자기 전 8시간 안에는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를 마시지 않는 것이 좋은데 그것은 카페인이 우리 몸에 들어가게 되면 약 8시간 동안 체내에 머무르면서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숙면을 하고 싶다면 자기 전 8시간 동안은 커피, 에너지드링크, 등의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를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 사진출처 : 무료이미지사이트 Unsplash
# 주말에도 규칙적으로 생활해야
주중에 아무리 피곤하고 잠이 부족했다며 주말에 그 피곤을 푼다는 생각에 잠을 몰아서 자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주말에도 평소 일어나는 시간에서 1~2시간 차이를 넘지 말도록 해야 한다.
우리 몸은 생활패턴이 있기 때문에 매일 일어나는 시간에 자연스럽게 몸이 일어나 지게 된다.
쉬는 날 늦잠을 길게 자게 되면 우리 몸은 생활패턴이 일정치 않아 좋지 않기 때문에 평소 일어나는 시간에서 1~2시간 정도 차이가 넘지 않도록 일어나서 평소 생활의 규칙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주말에 낮잠을 자는 경우에도 30분이 넘어가지 않도록 자는 것이 좋다.너무 오랜 시간 동안 잠을 자게 되면 저녁에 숙면을 취하기 어렵다.
한지윤 기자(탈모인라이브 http://www.talmoin.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