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LPGA
4년 만에 돌아온 김상열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장(KLPGA)이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며 “폐쇄적인 운영 방식을 바꾸고, 미국여자프로골프(LPGA)투어와 공동개최를 포함한 개방적인 투어로 이끌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김 회장은 20일 서울 올림픽파크텔에서 열린 2025 KLPGA 정기총회에서 제15대 회장으로 선임 돼 공식 임기를 시작했다.
2017년부터 13대 KLPGA 회장을 역임한 김 회장은 드림(2부), 점프(3부)뿐만 아니라 챔피언스투어를 활성화하는 데 큰 힘을 쏟았다. 대회창설, 사재출연 등 물심양면으로 지원해 글로벌 투어로 격상할 기반을 다졌다.
4년 만에 돌아온 김 회장은 ▲복지향상 ▲질적성장 ▲글로벌 위상 강화 등 세 가지를 핵심 과제로 꼽았다. 김 회장은 “회원들이 3300여 명이 된다. LPGA 등 글로벌 단체는 회원들을 위한 각종 기금이 많다. 복리후생 지원이 잘 된다. 크지 않겠지만, 임기 동안 KLPGA 회원들도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수익모델이 사실상 중계권료뿐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공동마케팅을 비롯해 새로운 먹거리 발굴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김 회장이 가장 강조한 부분은 LPGA투어와 연계한 글로벌화 추진. 김 회장은 “올해는 BMW레이디스 챔피언십을 LPGA 단독 주관 대회로 치르겠지만, 내년부터는 KLPGA와 공동주관할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후원사와 관계 등 협회 특성 탓에 폐쇄적으로 경기를 운영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지만, 개방적으로 바꿔야 한다. 어디든 후원사가 LPGA투어를 개최하겠다고 하면 손을 맞잡을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LPGA가 아시아권에서 개최하는 대회가 많은 편이어서 KLPGA가 위기의식을 느꼈는데, (힘을 모으면) 경쟁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트레이드마크 같은 하부 투어 활성화 구상도 공개했다. 김 회장은 “K10 클럽을 비롯해 비교적 젊은 나이에 은퇴하는 선수들이 투어 활동을 할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30대 초중반에 은퇴한 선수들은 챔피언스투어 출전 나이제한 탓에 5~6년가량 공백기를 가져야 한다. 이런 선수들에게 정규투어 시드를 부여해 이른바 경력단절을 없애자는 취지다.
그래야 챔피언스투어도 활성화할 수 있고, 선수들이 경력단절 없이 선수생활을 이어갈 방법이 생기면 여자골프 활성화에도 도움이 된다.
끝으로 김 회장은 “지난 임기 때 회장사가 지원을 많이 해서 드림투어 등을 활성화했지만, 시장 순기능에 맡겨도 될만큼 안착시키지는 못했다. 임기 막판에는 코로나 탓에 정리를 못하기도 했다”면서 “돌아왔으니, 드림투어와 챔피언스투어 활성화에도 예전처럼 신경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종근 기자 (탈모인뉴스 www.talmoin.net)